창려

창려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고문진보 창려문집서1

133
4
0
00:10:01
14.03.2022

고문진보 창려문집서1

#한문#한문산문-창려문집서

64
3
0
00:21:41
27.08.2021

한유의 제자이자 사위 이한(李漢)의 글 "창려문집서(昌黎文集序)" 번역 *동영상링크 🤍 *운영자 블로그 소개 1) 조선왕조실록과 한문학(블로그) 🤍 왕조실록의 원문,독음,번역의 삼위 일체, 11000여수의 한시와 한문학 재료 2) 한문고전 원문번역독음 기본텍스트 만들기(블로그) 🤍 3) 한문산문 명문주소 🤍 사서삼경 등 한문고전의 원문,독음,번역 기본텍스트 4) 시집동영상 🤍 5) 한문명저주소 🤍 6) 한문한자 교실주소 🤍 6) 한시 꽃다발주소 🤍 #한문#서발류#한문산문#한유문집#한문공부

고문진보 창려문집서2

109
6
0
00:08:54
17.03.2022

고문진보 창려문집서2

창려문집서. 이한(고문진보50화) 문장은 태양 처럼 빛나고 옥처럼 깨끗하다 성독 허인향

70
2
0
00:12:26
28.03.2020

문장을 도를 밝히는 도구이니 유가의 도를 심오하게 깨닫지 않고서 지극한 문장을 지을 수 있는 사람은 있을 수가 없다. 주역은 효상을 드러내고, 춘추는 사실을 기록하고, 시경은 읊고 노래하고, 서경과 예기는 거짓됨을 제거한 것인데 모두 심오한 경지에 이른것이다. #시경#서경#역경#예기#춘추#효경#대학#논어#맹자#중용#소아#대아#국풍#홀기#창홀#성독#강독#소학#천자문#사자소학#고문진보후집#고문진보전집#시경집주#소학집주#내고향진주#진주향교#유교대학#유학의길을찾아서#儒學#공자#맹자#장자#노자#순자#주재#장재횡거#한유#백거이#이백#백거이#두보#두목#정호#정이#정명도#정이천#심경부주#심경#진덕수#정민정#허인길#허인향#영상녹화 허인향#영상편집 허인향 🤍 🤍 참고자료 : 한국고전번역워DB. 동양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지거리온 -TREUE 창려의 섬광-

629
3
1
00:02:40
12.04.2016

제2차 슈로대 OG 레오나 BGM -TREUE 창려의 섬광-

오빠 돈 많아?

226183
3124
465
00:23:24
21.12.2022

트위치에서 방송중입니다. 팔로우 알림설정 부탁드려요~! 주말 낮12시부터 오후4시 정도까지 방송합니다 🤍 저챗 : 영상클립(1204) 게임 : 김경섭(1217) 각종 비지니스 문의 : gajaeman1234🤍naver.com 가재맨 팬카페 : 🤍 (18세 이상 가입가능) 가재맨 쇼츠 채널 : 🤍

[팩 한국사 79회] 고구려 연수영 vs 당나라 장량 feat 바다를 지킨 여자 이순신

51349
646
130
00:10:32
15.05.2021

한편 보급을 원활히 하라는 당태종 이세민의 명에 의해 당 군의 해상기지(창려)에서는 군량과 장비를 싣기에 바빴다. 한참 일을 하는 가운데 한 병사가 멀리 해안가를 바라보며 말했다. "저것이 무엇이냐? 파란 것은 바단데...까맣게 몰려오는 것은...." 그말에 다른병사들도 그쪽을 보았는데 그 중 눈 밝은 자가 소스라치게 놀라며 외쳤다. "고... 고구려 수군이다!" 수군을 이끄는 연수영은 함선 높은곳에 올라 명했다 "목표는 적선과 군량미다! 불화살을 쏘아 모두 불태우라!" 화공은 성공적이었다. 정박해둔 당나라 함선들에 불이 붙기시작하자 순식간에 옮겨붙었다. 그 뜻밖의 기습에 선박과 굴량미가 모두 불타올라 당나라군사들은 정신이 아득하였다. 이리치이고 저리치이며 흩어져 달아나기 바쁘니 연수영의 기습공격은 대 성공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만족하지 않았다. "적들이 혼란에 빠졌다. 상륙하여 잔여병사들을 모두 척살할것이다. 너희들은 나를 따르라!"

고문진보 난정기1

870
16
2
00:10:19
24.05.2021

고문진보 난정기1

[한국고대사 진실] 29. 사라진 바다 발해의 북쪽에 있던 고조선

110421
1439
149
00:23:05
28.02.2023

한(漢)나라가 기원전 109년 고조선을 공격할 때 건넜던 발해(勃海)는 현재의 발해가 아니라 중국 내륙의 거대한 호수였다. 이는 고조선의 위치가 발해(하북성 중남부) 북부인 현 북경시 일대에 있었음을 말한다. 이를 통해 고조선을 이은 낙랑, 부여, 고구려 등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문의 : 010-8663-8758, yikihoon🤍daum.net 키워드 : 발해, 고조선, 낙랑, 고구려, 부여, 예맥, 선비, 창려, 연나라, 청동기

고문진보 낙지론

259
9
2
00:10:35
03.05.2021

고문진보 낙지론

새로운 상자가 그렇게 좋다며?! 몽땅 사봅니다 대리만족 ㄳ

349605
3018
458
00:10:21
26.02.2018

The 창렬 of 창려rㄹ ✅테드tv 무료 구독 : 🤍 📲테드 추천 모바일게임!: 🤍

진개의 침공과 조선의 후퇴 위치 비정

777
53
22
00:21:47
21.10.2022

진개의 고조선 세력 침공으로 고조선은 1천리 밀려난 창려 일대에 위치했습니다. 연나라는 조양에서 양평까지 장성을 쌓았는데, 양평은 고대 요동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연 5군도 모두 창려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한국고대사 진실] 30. 고구려 서쪽 경계 갈석산의 위치

20112
631
91
00:25:13
11.03.2023

고구려 서쪽 경계였다는 갈석산의 위치에 대한 여러 학설 중 황하 남쪽에 있는 하남성 형양 광무산이 초기 갈석산이며, 그곳이 고구려 서쪽 경계였을 가능성을 설명한 영상입니다. 문의 : 010-8663-8758, yikihoon🤍daum.net 키워드 : 갈석산, 고구려, 낙랑, 백석산, 창려, 발해, 고조선, 황하

고조선과연나라 사이의 갈석산과 요동의 위치

4524
76
16
00:19:00
09.06.2021

고조선과 연나라 사이의 갈석산과 요동은 중요하다 소진은 연나라 문후(文侯 361∼ B.C 333)에게 이렇게 유세했다. “연나라는 동쪽으로 조선(朝鮮)과 요동(遼東)이, 북쪽으로는 임호(林胡)와 누번(樓煩)[1]이, 서쪽으로는 운중(雲中)과 구원(九原)[2]이, 남쪽으로는 호타하(嘑沱河)와 역수(易水)[3]가 있습니다. 땅은 사방 2천여 리에 갑옷을 두른 병사가 수십 만, 전차가 600승, 전투마가 6,000필, 비축된 식량은 몇 년을 먹을 수 있습니다[4]. 남으로 갈석(碣石)[5]과 안문(雁門)의 풍요로움[6]이 있고, 북으로는 대추와 밤이 풍족합니다. 이것이 이른바 하늘이 내려준 창고라는 것이지요. 연나라 남쪽으로 갈석과 안문이 있다고 했다 안문산과 갈석산이 가까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갈석산은 하북성 백석산을 말한다 연나라 동쪽으로 조선과요동이 있다고 했다 진나라때 요동은 창려 갈석산의 동쪽을 말한다 한나라때 난하을 요수라 했는데 요수의 동쪽을 요동이라 하고 서쪽을 요서라 했다 전국시대 연나라의 요동은 난하의 서쪽지역에 해당한다 기주협우갈석도을 보면 연나라 5군이 나오는데 갈석산의 위치도 나온다 거기에 보면 북경과 북경남쪽지역이 요동이 아닌가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진 [蘇秦] 사기의 화식열전 연나라는 발해와 갈석 사이의 도회지입니다. 남으로는 제, 조와 통하고 동북 변방에는 호胡가 있습니다. 상곡에서 요동에 이르는 지역은 멀고 인민이 적어 침략을 자주 당합니다. 풍속은 趙, 代와 비슷하고 주민은 독수리처럼 사납지만 사려깊지 못하고, 물고기, 소금, 대추, 밤이 풍족합니다. 북쪽은 오환(烏桓), 부여(夫餘)와 이웃해 있고, 동은 예맥(穢貉), 조선(朝鮮), 진번(眞番)의 이점이 있습니다. 이란 기록이 있다 화식열전의 기록은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기전이고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의 침략해서 상곡군,우북평군,어양군,요서군,요동군을 설치한 후의 기록으로 생각된다 이 기록에서도 발해와 갈석사이에 연나라가 있다고 했고 그 남쪽으로 제나라,조나라와 통한다고 했는데 그 위치는 발해와 백석산(갈석산)일 때 기록의 내용과 맞는 것이다 화식열전에서도 갈석산이 하북성의 백석산임을 말하고 있다 . 한서 한무제 본기 B.C 110년 태산(泰山)에서 출발하여 다시 동쪽으로 해상(海上)을 순수하고 갈석(碣石)에 이르렀다. 요서(遼西)에서 북쪽 변경의 구원(九原)을 지나 감천(甘泉)으로 돌아왔다. 한무제 본기에는 무제가 중국을 순행하면서 갈석산을 갔다고 하는데 그 갈석산이 산해관부근 창려의 갈석산이라 한다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BC110년이면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4군을 설치한때이다 창려의 갈석산은 고조선에 있던 갈석산이었지 중국인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갈석산이다 안문산옆쪽의 백석산(갈석산)은 하나라 우임금때의 갈석산이 전국시대때 연나라에 있던 갈석산으로 중국인들에게 알려졌다 역사적으로 중국인들에게 하북성 백석산(갈석산)이 의미있는 산이지 고조선에 속했던 창려의 갈석산을 중국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산이다 역사적으로 중국인들에게 알려진 하북성 백석산(갈석산)을 한무제가 방문하는게 당연한 것이다 진시황이 중국통일후 중국을 순행하면서 갈석산을 방문했다고 한다 진나라때의 갈석산 동쪽을 요동이라 했는데 이 요동에서 고조선과 접했다 진나라때 창려의 갈석산은 변방이고 교통도 불편한데 진시황이 수십만의 군대와 신하들, 말과마차을 끌고 힘들게 갔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 당연히 중국인들에게 알려진 하북성 백석산(갈석산)을 갔다고 봐야 한다

사기 흉노열전의 연燕 5군은 어디 있었나

742
22
25
00:31:57
12.04.2023

사기 흉노열전에 따르면 연나라 진개의 공격으로 동호는 난하 동쪽 창려까지 1천리 후퇴했다. 이에 대해 위략에서는 조선이 2천리 땅을 빼앗겼다고 기록했다. 그런데 이병도(1976)는 이를 모두 거리로 합해 3천리 떨어진 한반도 청천강까지 후퇴했다는 어이없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이것이 교과서에 실려 있다. 당연히 중국에서도 이를 근거로 동일한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 과연 언제까지 이런 주장을 두고 보아야 하는가?

축융족 한씨의 역사적 기원

1861
52
14
00:22:58
05.12.2022

한씨는 한류(韓流)의 후손으로 동이 축융족이다. 산해경에 한씨는 돼지 토템을 숭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홍산에서 수많은 옥저룡이 발굴되었다. 한씨는 기자조선의 후예로 산서성 일대에 있다가 하북성 창려 일대로 이주했다가 한반도로 들어온 세력이다.

하루 명언공부 : 12월 2일(노기복려老驥伏欐) 늙은 준마가 마굿간에 엎드려 있다.

223
20
1
00:03:35
01.12.2020

* 명구 출전 : '보출하문행(步出夏門行)' * 명구 해설 : 207년 5월 조조는 관도 전투에서 모든 사람의 예상을 깨고 원소를 대파했다. 7월 조조는 대군을 이끌고 노룡채를 나와 오환을 정벌하여 크게 승리했다. 이 무렵 원소의 아들 원상과 원희는 평주 공손강에게로 도망쳐 재기를 노리고 있었다. 조조의 측근들은 내친 김에 평주를 공략하여 원씨 형제를 뿌리 뽑자고 했다. 조조는 이들이 서로 반목하다가 죽일 것으로 예상하고 군대를 물렸다. 조조의 예상대로 공손간은 원씨 형제들의 목을 베어 조조에게 보냈다. 조조는 군을 전부 수습하여 회군했다. 하북 창려에 이르러 조조는 동쪽 갈석산에 올라 동해를 굽어보며 ‘관창해(觀滄海)’라는 천고의 명시를 남겼다. 군영으로 되돌아 온 조조는 지친 몸과 마음으로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늙은 준마 마구간에 엎드려 있어도 마음은 천 리를 달린다. 피 끓는 용사 나이 들었지만 굳센 마음 여전하구나.” 당시 조조의 나이 53세였다. 이 대목은 바로 이어지는 ‘지재천리(志在千里)’와 함께 많이 인용한다. 전장을 누볐던 조조의 회한과 의지가 묻어는 명시라 할 수 있다. #하루_명언공부 #조조 #노기복려 #관창해

수원역 집창촌 폐쇄…길 잃은 성매매 여성들 "살 자신이 없어요"

85288
122
188
00:06:24
30.06.2021

집창촌은 불법입니다. 전국 지자체들마다 폐쇄 작업이 한창이고 경기남부 최대인 수원역 앞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5월 31일 수원역 성매매 집결지(집창촌)가 자진 폐쇄되며 운영 중인 업소들이 모두 문을 닫았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런 폐쇄로 일자리를 잃은 성매매 여성들... 수원시청 앞 시위를 시작했는데요... 왜 그들은 그곳을 떠나지 못하고 시위를 하게 됐을까요?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성매매집결지#집창촌_자진폐쇄#탈성매매#성매매여성_자립#탈업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의 서쪽을 공격해서 2천리을 빼앗고 만번한으로 경계를 삼았다

225
8
1
00:09:45
15.08.2021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한 것은 연나라 소왕때의 일이입니다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의 서쪽 지역을 침략해서 만번한을 경계로 했습니다 하지만 연나라 소왕이 죽은 후 연나라는 국력이 쇠약해집니다 사기의 화식열전 연나라는 발해와 갈석 사이의 도회지입니다. 남으로는 제, 조와 통하고 동북 변방에는 호胡가 있습니다. 상곡에서 요동에 이르는 지역은 멀고 인민이 적어 침략을 자주 당합니다. 풍속은 趙, 代와 비슷하고 주민은 독수리처럼 사납지만 사려깊지 못하고, 물고기, 소금, 대추, 밤이 풍족합니다. 북쪽은 오환(烏桓), 부여(夫餘)와 이웃해 있고, 동은 예맥(穢貉), 조선(朝鮮), 진번(眞番)의 이점이 있습니다. 이란 기록이 있다 화식열전의 기록은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기전이고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의 침략해서 상곡군,우북평군,어양군,요서군,요동군을 설치한 후의 기록으로 생각된다 이 기록에서도 발해와 갈석사이에 연나라가 있다고 했고 그 남쪽으로 제나라,조나라와 통한다고 했는데 그 위치는 발해와 백석산(갈석산)일 때 기록의 내용과 맞는 것이다 화식열전에서도 갈석산이 하북성의 백석산임을 말하고 있다 연나라의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해서 영토을 빼앗았는데 화식열전에 보면 연나라 영토는 발해와 갈석산(백석산)이라 했다 그것은 연나라의 진개가 창려부근의 갈석산이나 대릉하을 넘지 못한 것을 말한다 사기의 진시황본기 영토는 동으로 동해, 조선(朝鮮)에까지, 서로 임조(臨洮), 강중(羌中)에까지, 남으로 북향호(北嚮戶)에까지, 북쪽으로 황하를 의지하여 요새를 쌓아 음산(陰山)을 넘어 요동(遼東)에까지 이르렀다 수경주 하수주 에는 “진시황이 태자 부소와 몽염에게 장성을 쌓게 했는데 임조에서 시작해서 갈석까지 이르렀다[始皇令太子扶蘇與蒙恬築長城起自臨洮至于碣石]”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기》의 요동이 수경주 에는 갈석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고대의 요동은 갈석산 일대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진시황본기의 내용에 의하면 요새를 쌓아서 하북성북쪽의 음산산맥을 넘어서 요동에 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음산산맥은 하북성북쪽에 위치하고 진나라시기 요동은 갈석산 일대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해서 연나라의 영토을 다 차지했는데 진나라의 요새가 하북성 북쪽의 음산산맥에서 창려의 갈석산부근까지 였다고 합니다 창려의 갈석산 넘어부터는 고조선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습니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해서 연나라 영토을 다 차지했는데 그 영토가 하북성 갈석산을 넘지 못했다는 것은 연나라의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해서 빼앗은 영토가 얼마돼지 않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화식열전과 진시황본기을 보면 연나라의 영토을 짐작할 수 있는데 연나라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해서 빼앗은 영토가 얼마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략의 내용을 보면 고조선의 서쪽을 공격해서 2000리을 빼앗고 만번한을 경계로 했다는 것은 그 만큼 고조선의 영토가 컸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연나라의 진개가 요동을 넘었다고 했는데 전국시대 요동은 난하의 서쪽이고 북경남쪽으로 생각됩니다 연나라의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해서 많은 영토을 빼앗아 연나라의 영토가 넓어지고 고조선은 요하동쪽이나 한반도로 이동했다는 것은 큰 착각이고 역사왜곡입니다 사기의 흉노열전 모든 좌방(左方)의 왕들과 장수들은 동쪽에 거주하고 상곡군(上谷郡)에서부터 동쪽으로 예맥(穢貉)과 조선(朝鮮)과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우방(右方)의 왕들과 장수들은 서쪽에 거주하고, 상군에서부터 월지와 저(氐), 강(羌) 등의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또 선우의 왕정(王庭)은 대군(代郡), 운중군과 마주 보고 있었다. 그들은 각기 일정한 영역이 있었고 물과 풀을 따라 옮겨 살았다. 그 중에서 좌우현왕과 좌우녹려왕의 영역이 가장 크고, 좌우골도후는 선우의 정치를 보좌했다. 진나라가 통일한후 10여 년 뒤에 진시황이 죽고 몽염이 죽고 과거 육국의 귀족들은 진나라에 반기를 들자 중국은 온통 혼란상태가 되고 진나라가 변경을 지키기 위해서 보냈던 수비병들은 모두 흩어지고 말았다. BC210년에 진시황이 사망하고 진시황의 어리석은 아들 호해가 황제가 되고 몽염이 죽는다 BC 209년 - BC208년 진승,오광의 난이 발생하는데 중국 역사상 최초의 농민 봉기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는가"란 말로 유명하다 사기의 조선열전 조선(朝鮮)의 왕 만(滿)은 원래 연(燕)나라 사람이었다. 당초 연은 전성기 때 진번(眞番)과 조선을 공략하여 귀속시키고는 관리를 두고 변방 요새를 쌓았다. 진(秦)이 연을 멸망시키고 요동(遼東) 바깥 경계에 귀속시켰다. 한(漢)이 일어나자 그곳이 멀어 지키기가 어려워서 다시 요동의 옛 요새를 수리하고 패수(浿水)에 이르러 경계를 정하고 연에 소속시켰다.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배반하여 흉노(匈奴)로 들어가자 위만은 망명하여 무리 천여 명을 모아 추결(魋結, 상투를 틀다)을 하고 만이(蠻夷)의 옷을 입고는 동쪽 요새를 나와 패수를 건너 진의 옛 비어 있는 지역을 점거하고, 변방을 오가며 점차 진번과 조선의 만이와 옛 연과 제(齊)의 망명자들을 복속시켜 그들의 왕이 되어 왕검(王險)을 도읍으로 삼았다. 연나라가 고조선의 영토을 빼앗아서 관리하고 그것이 진나라까지 이어지지만 진나라 진시황이 죽고 몽염이 죽고 6국의 귀족들이 반기을 들고 변방을 지키던 수비병들이 흩어졌다 고조선과진나라 국경을 지키던 진나라 수비병들도 흩어졌고 이 때 고조선도 상곡군부근 난하부근까지 영토을 회복했다 고조선이 영토회복했다는 것은 흉노열전에서 좌방의 왕들은 상곡군에서부터 동쪽으로 예맥,조선과 접하고란 기록이 있다 또 조선열전에도 고조선지역에 있던 우북평군,요서군,요동군이 너무 멀어서 지키기가 어려워서 패수(대능하)을 경계로 했다는 기록이 있다 너무 멀어서 지키기가 어렵다는 것은 핑계고 이미 고조선이 영토회복을 해서 군사을 배치하고 백성들이 생활했고 한나라 내부에서도 한나라와 초나라전쟁, 흉노침입등 여러가지로 곤란했기 때문이다 고조선과 한나라의 경계는 상곡군부근 산해관부근으로 이 국경선은 위만조선이 망하는 108년까지 100년이상 유지됐다 연나라와진나라가 고조선을 침략해서 장성을 축조하고 관리한 기간은 50년-80년 정도에 불과합니다

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移居二首其一 이거2수기1~2 /昔欲居南村 설욕거남촌 오래 전부터 남촌에 살고자 한 것은/ 한시낭송

29
0
0
00:04:18
20.10.2020

移居二首其一 이거2수기1 移居其一 이거제1수 이주 陶淵明 도연명 365 – 427 昔欲居南村 설욕거남촌 오래 전부터 남촌에 살고자 한 것은 非爲卜基宅 비위복기택 집터가 좋다고 해서가 아니었다 聞多素心人 문다소심인 소박하고 좋은 사람 많다기에 樂與數晨夕 악여삭신석 아침 저녁으로 어울려 즐기고자 함이였다 懷此頗有年 회차파유년 그런 뜻 지닌 지 꽤 여러 해 이었는데 今日從玆役 금일종자역 오늘에서야 이 일을 이루었다 敞廬何必廣 창려하필광 사는 집은 넓어야 할 필요도 없고 取足蔽床席 취족폐상석 눕고 앉을 자리 있으면 족하다 隣曲時時來 인곡시시래 이웃 친구들 수시로 찾아와서 抗言談在昔 항언담재석 옛 일을 소리 높여 이야기 한다 奇文共欣賞 기문공흔상 신기한 글 있으면 함께 감상하고 疑義相與析 의의상여석 의심나는 곳은 뜻을 묻고 풀었노라 ○ 南村(남촌) : 南里(남리). 도연명은 上京(상경)에 살고 있었으나 화재를 당해서 심양(潯陽)의 남촌으로 이사하였다. ○ 卜宅(복택) : 집에 대한 길흉을 점침. ○ 素心人(소심인) : 심성이 순결하고 선량한 사람들. 소박한 인심을 지닌 사람들. ○ 數晨夕(삭신석) : 아침저녁으로 자주. 서로 만나는 것이 잦은 것을 말한다. 數은 자주 ‘삭’. 移居二首其二 이거2수기2 移居其二 이거제2수 이주 陶淵明 도연명 365 – 427 春秋多佳日 춘추다가일 봄 가을에는 좋은 날이 많으니 登高賦新詩 등고부신시 오늘도 높은 곳 올라 시를 읊노라 過門更相呼 과문경상호 문 앞 지나면 서로 불러 들여 有酒斟酌之 유주짐작지 술 따라 잔 권하며 마시노라 農務各自歸 농무각자귀 농사일 할때는 각자 밭에 가고 閒暇輒相思 한가첩상사 한가롭게 틈이 나면 서로 생각한다네 相思則披衣 상사즉피의 생각이 나면 이내 옷 걸치고 찾아가 言笑無厭時 언소무염시 담소하며 끝낼 줄을 모르더라 此理將不勝 차리장불승 이렇게 사는 도리 어찌 좋지 않겠는가 無爲忽去玆 무위홀거자 이런 삶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衣食當須記 의식당수기 먹고 입는 것 마땅히 내 스스로 하여야 하니 力耕不吾欺 역경불오기 애써 농사 지으면 반드시 좋은 결과 있으리라 ○ 吾不欺(오불기) : 나를 속이지 않음.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묘사했던 전원의 집이 도연명(陶淵明) 44세 무렵에 화재가 났다. 다음 해에 남촌으로 이주를 하였는데, 이주를 한 후 이 시 2수를 지었다. 제1수는 새로 이사한 집이 전보다 못하지만 소박한 삶을 살 수 있고 근처에 친한 이웃들이 있으니 함께 글도 읽어보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을 말하였고 제2수는 농사를 지으며 이웃들과 어울려 생활하는 은거의 삶을 버리지 않겠다는 다짐을 한다. 陶淵明 도연명 365 – 427 중국 동진의 전원시인(田園詩人) 호는 연명(淵明) 자는 원량(元亮) 혹은 연명(淵明) 본명을 잠(潛)오류(五柳) 선생이라고 불리며, 시호는 정절(靖節) 심양 사람. 동진 초기의 군벌의 대인물 도간(陶侃)의 증손이라 하는데, 부조(父祖)의 이름은 분명치 않다. 하급 귀족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고, 부친은 일찍 사망했다.29세에 주(州)의 제주(祭酒) 참군(參軍)으로서 관직에 임했다. 그 후 13년간 지방 관계에 있었고, 팽택령(彭澤令,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을 80일간 근무한 후 향리로 돌아갔다 그 후에는 심양에서 은일(隱逸)의 선비로 처세하면서 명성을 얻었다.쉬운 말로 시를 쓴 것이 특징이며, 유교와 노장 사상을 흡수하여, 인생의 진실한 것을 추구한 시인이었다. 10년 후에는 조정으로부터 좌저작랑(佐著作郞=당시 隱士에게 주어진 관직)을 수여받았다.그의 시는 현재 4언시(四言詩) 9수, 5언시 120수 정도가 남아 있다. (위키백과) 31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讀山海經十三首其一 독산해경13수기1 산해경을 읽고나서 / 孟夏草木長 맹하초목장 초여름 초목은 나날이 자라고 / 한시낭송 🤍 30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讀史述九首其一 독사술9수기1 사기를 읽고 나서 지은 시 제1수~제9수 / 二子讓國(이자양국) 두 아들은 나라를 양보하고/ 한시낭송 🤍 29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四時 사시 봄 여름 가을그리고 겨울 /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따뜻한 봄물은 사방 연못에 가득하고/ 한시낭송 🤍 28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責子 책자 아들을 꾸짖다 / 白髮被兩鬢 백발피양빈 백발은 양 귀밑머리 덮고/ 한시낭송 🤍 27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庚戌歲九月中於西田穫早稻 경술세구월중어서전확조도 올 벼를 베며/ 人生歸有道 인생귀유도 인생은 따라야 할 도리가 있어/ 한시낭송 🤍 26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和郭主簿二首其一 화곽주부2수기1~2 곽주부에게/藹藹堂前林 애애당전림 집 앞에 우거진 수풀은/ 한시낭송 🤍 25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乙酉歲九月九日 을유세구월구일 /靡靡秋已夕 미미추이석 어느덧 가을도 저물어/ 한시낭송 🤍 24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乞食 걸식 음식을 얻어먹으며/飢來驅我去 기내구아거 굶주림이 나를 밖으로 내몰았지만/ 한시낭송 🤍 23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止酒 지주 술을 끊다/居止次城邑(거지차성읍) 사는 곳은 성읍(城邑) 근처이고/ 한시낭송 🤍 22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形影神三首幷序 형영신3수병서 글의 사연을 쓰다 /貴賤賢愚(귀천현우) 귀하거나 천하거나 어질거나 어리석거나/ 한시낭송 🤍 21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七月夜行江陵途中作칠월야행강릉도중작 칠월 밤에 강릉으로 가는 도중에 짓다 /閑居三十載한거삼십재 한가하게 살아오기 삼십년/ 한시낭송 🤍 20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移居二首其一 이거2수기1~2 /昔欲居南村 설욕거남촌 오래 전부터 남촌에 살고자 한 것은/ 한시낭송 🤍 19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오류선생전 五柳先生傳 /先生선생 선생은 不知何許人부지하허인 어디쯤의 사람인지 알지 못하고,/ 한시낭송 🤍 18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連雨獨飲연우독음연일 내리는 비에 혼자 마시며 /運生會歸盡운생회귀진 삶이라는 것은 목숨이 다하면 죽기 마련/ 한시낭송 🤍 17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時運四首幷序 시운4수병서~시운4수 /時運 시운 시운은~ 斯晨斯夕사신사석 아침이나 저녁이나/ 한시낭송 🤍 16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문래사問來使 심부름 온 사람에게 묻다 /爾徒山中來(이도산중래) 그대 산속에서 여기 왔으니/ 한시낭송 🤍 15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歸鳥四首 귀조4수기1~4 /翼翼歸鳥(익익귀조) 훨훨 날아 돌아온 새/ 한시낭송 🤍 14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九日閑居구일한거 幷序 ~九日閑居 구일한거/중양절에 한가로이 보내며/ 한시낭송 🤍 13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還舊居 환구거 예전 살던 곳에 돌아와 /疇昔家上京(주석가상경) 예전에 상경(上京)에서 살 때는/ 한시낭송 🤍 12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停雲四首 정운4수1~4 /靄靄停雲(애애정운) 뭉게뭉게 멈추어 선 구름/ 한시낭송 🤍 11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游斜川幷序 유사천병서 글의 사연을 쓰다 /辛丑正月五日신축정월오일 신축辛丑년 정월 오일/ 한시낭송 🤍 10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5월달 아침에 지어 대주부에 화답하다 /虛舟縱逸棹허주종일도 빈 배를 빠르게 노 저어가듯/ 한시낭송 🤍 09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榮木四首幷序 영목4수 병서 ~ 榮木 其四 영목 제4수 /榮木영목 무궁화는~先師遺訓선사유훈 공자께서 남기신 가르침을 / 한시낭송 🤍 08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蜡日 사일 /사제(蜡祭)를 지내는 날/ 한시낭송 🤍 07漢詩 한시/ 陶淵明 도연명/挽歌詩三首其一 만가시3수기1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가 /有生必有死 유생필유사 태어나면 반드시 죽게 되는 것/ 한시낭송 🤍 출처 한국고전번역원 출처 陶淵明集/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출처 고문진보 /金學主 역/明文堂 출처 위키백과 출처 swings81 블로그 출처 한산초당

한시감상(추구). 가도의 제이응유거. 달빛 아래 중이 문 두드리네.

4044
150
27
00:27:11
21.11.2020

한가한 곳에 사니 이웃도 적고 오솔길 따라 가니 황량한 뜰이 나오네 새는 연못 가의 나무에서 잠 들고 중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 징검다리를 지나니 들 풍경이 달라지고, 돌 흔드니 산이 움직이는구나. 잠시 갔다가 다시 이곳에 오리니 은거한다는 약속 어기지 마세나. 賈島(가도, 779~843). 자 浪仙(낭선). 범양(하북성)사람. 당나라 승녀. 법호 無本(무본). 시인. 한유(韓愈, 768~824)에게 속퇴, 사천성 장강현 주부로 관직에 올랐으나 사창참군에 그침. * 題 李凝幽居 (제 이응유거) 제목 : 이응(李凝)의 은둔 처소. 은거하는 친구 이응의 집을 찾아갔다 만나지 못하고 돌아가며 다시 돌아올 것을 다짐하는 시.閑居少鄰竝草徑入荒園 鳥宿池邊樹僧敲月下門 過橋分野色 石動雲根 暫去還來此幽期不負言한거소린병초경입황원 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과교분야색이석동운근잠거환래차유기불부언  * 推敲(퇴고) : 완성된 글을 다시 읽어 가며 다듬어 고치는 일' 校閱(교열), 校訂(교정), 校正(교정)과 달리,보다 적절하고 적확한 문자와 단어를 찾는 시 작법. * 韓愈(한유,768~824) : 자 퇴지(退之), 호 창려(昌黎), 시호 문공(文公). 당송 8대가의 한 사람. 고문부흥운동. 정치가. 排佛論(배불론자). 헌종의 불사리공양반대. 유학자. 성리학 기초 마련. * 밀 推(퇴) : 소박, 사람이 들지 않는 외진 곳. 幽居(유거), 少隣竝(소린병), 草徑(초경), 荒園(황원), 조숙(鳥宿) 두드릴 敲(고) : 고압적, 고대광실의 대문. 雲根(운근) : 구름의 뿌리. 山(산)을 상징. 重山 艮(중산 간)괘 : 멈춤. 현 상태 유지. 천년만년 움직이지 않는 마음을 산으로 표현. 動雲근(동운근) : 한 발짝씩 속세에 발을 내디면서 변치 않겠다고 맹세한 마음의 흔들림 표현. * 시풍 : 淸奇僻苦(청기벽고) : 맑고, 기괴, 편벽, 고달품. 苦吟派(고음파, 괴롭게 시를 읊음) 시집 : [賈浪仙長江集 (가낭선장강집)] 10권. #한문 #한시감상 #달빛아래중이문두드리네 #가도 #달빛 #중 #문 #두드리네 #문두드리네 #맹세 #흔들림 #약속 #퇴고 #한퇴지 #승려 #한시 #유교 #유가 #불교 #인문학 #동양고전

선비와 거란은 단군의후예, 동이의 역사

98521
2182
427
00:13:48
24.04.2021

선비(鮮卑)라은 이름의 한자 선(鮮)은 고조선(朝鮮)의 선(鮮)과 같은 글자를 쓰고 있다. 선비족이 출현한 시기도 고조선이 해체되고 열국시대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선비족은 과연 우리와 아무 관련이 없는 북방 유목민족일까? 참고 문헌 우리가 배운 고조선은 가짜다/ 김운회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정길선 숙신·산융·동호는 (고)조선의 이칭(異稱)/ 황순종 잃어버린 상고사 되찾은 고조선/ 심백강 고구려와 선비족 의복 형태 비교 연구/ 김소희 채금석 [과학으로 푸는 우리유산] 고조선인은 한국인인가/ 이종호 산융ㆍ동호와 초기 선비족의 민족관계 소고/ 김성숙 고려시기 단군 역사기억의 변화와 도선국사 양계론 영향/이경룡

한(漢)나라 당시의 고(古)지도 공개! 고조선과 한사군(낙랑군) 위치! 역사기록과 유물 및 고(古)지도 분석! 고조선, 고죽국,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 역사기록

17517
721
64
00:26:10
27.11.2021

동북공정 이걸로 끝! 한(漢)나라와 진(晉)나라 당시의 고(古)지도 공개! 한사군의 위치는 어디인가? 만리장성의 동쪽끝은 어디인가? 고조선, 고죽국,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 관련 역사기록, 유물, 고(古)지도 분석!

[이덕일의 한국통사] 선비족이란 무엇인가? 고구려와 민족적 친연성 | 역사학계 태두 이병도 논문은 일본인 논문을 그대로 베낀 것

52010
2390
269
00:23:33
16.07.2020

(알려드립니다) 오디오 녹음시 문제가 생겨 강연 듣는 사람의 소리가 들어갔습니다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자막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나라, 당나라를 세운 주역 선비족이란 무엇인가? 고구려와 어떤 민족적 친연성이 있나를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역사학계 태두 이병도 박사의 '한국고대사연구' 책은 국내에서 박사 학위를 받으려면 달달달 외워야 하는 성서입니다 하지만 이병도 박사의 내용은 일본인 식민사학자 '이나바이와키치' 의 '진장성동단고' 논문을 그대로 베낀 것입니다 #선비족 #이병도 #만리장성

고문진보 백이송2

79
2
0
00:09:44
10.03.2022

고문진보 백이송2

고문진보 송이원귀반곡서2

74
4
0
00:12:35
21.01.2022

고문진보 송이원귀반곡서2

고문진보 재인전4

82
3
0
00:08:02
24.03.2022

고문진보 재인전4

[환콘16,17,18회 몰아보기] 환단고기 북콘서트 강화도편-환단고기가 밝히는 단군조선

9769
271
24
02:52:05
29.12.2020

시청하시고 유익하셨다면 좋아요, 구독 꼬옥 눌러주세요^^ 아래 서식을 정성껏 적어주시면 무료로 소정의 소책자를 보내드립니다. 🤍

고문진보 여한유논사서1

108
3
0
00:09:14
31.03.2022

고문진보 여한유논사서1

고문진보 백이송1

150
4
0
00:09:06
10.03.2022

고문진보 백이송1

고문진보 재인전5

70
4
0
00:07:09
24.03.2022

고문진보 재인전5

고문진보 재인전6

92
5
0
00:10:55
28.03.2022

고문진보 재인전6

고문진보 모영전2

85
4
0
00:06:23
04.03.2022

고문진보 모영전2

超級機器人大戰OG THE MOON DWELLRS 招式集-茲格里翁

777
3
1
00:02:14
16.10.2016

駕駛員:蕾歐娜.加修坦 BGM: TREUE 王牌獎勵:念動力等級+1

고문진보 송이원귀반곡서1

92
6
0
00:10:51
17.01.2022

고문진보 송이원귀반곡서1

고문진보 송육흡주참시서

73
2
0
00:08:46
24.01.2022

고문진보 송육흡주참시서

[황용현 목사] 하나님 나라는 무엇이며, 누가 소유하는가?

17303
40
01:46:44
30.06.2021

주최: 대교연 중부지역 교회연합회 주관: (사)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교단) 일시: 2021년 6월 25일 장소: 대전 선샤인호텔 컨벤셜홀 AMI 교회 주일 오전11시 실시간 예배 🤍 AMI 교회 영어 예배 🤍 AMI MINISTRY 🤍 AMI Bible Academy 일본어 🤍 AMI Bible Academy 중국어 🤍 AMI 선교센터 홈페이지 🤍

Super Robot Wars ost - TREUE [Extended]

6725
103
5
00:14:57
26.08.2021

Super Robot Wars ost - TREUE [Extended] (Leona's Theme) - - PlayAsia Links - Super Robot Wars (Page) 🤍 - SD Gundam (Page) 🤍 - Mobile Suit Gundam Extreme Vs. MaxiBoost ON (Page) 🤍 - - Amazon Links - Super Robot Wars OG: The Moon Dwellers - 🤍 - Super Robot Wars V - PS4 - 🤍 Super Robot Wars V - PS VITA - 🤍 Super Robot Wars X - PS4 -🤍 Super Robot Wars T - PS4 - 🤍 - Super Robot Wars V - Nintendo Switch - 🤍 Super Robot Wars X - Nintendo Switch - 🤍 Super Robot Wars T - Nintendo Switch - 🤍 - SD Gundam G Generation Genesis - 🤍 Gundam Versus - 🤍 SD Gundam G Generation Crossrays - Switch - 🤍 SD Gundam G Generations Crossrays - PS4 - 🤍 Gundam Breaker 3 - 🤍 New Gundam Breaker - 🤍

고문진보 재인전1

130
1
0
00:07:16
17.03.2022

고문진보 재인전1

Назад
Что ищут прямо сейчас на
창려 клип lil durk official 石松 low official music video Mario Bros coloring page Marvel Comics coloring pages Page Border In Word 運気 funny vines Michael page سكم Page policy issues Big Goals rap maroc MAGIC MAN PageMaker for Beginners 日式盐面包 1 pro vs 6 silvers Recover Hacking Facebook Page